SAP/FI 모듈

Managing Payment Differences(작업중)

쩨비 2023. 10. 21. 16:40
728x90

지급 관련 Tolearance group

 

지급을 하는데 Tolearance와 무엇이 관련이 있는지 아래 내용을 정리하면서 살펴보자

 

우선 Tolearance에 대해 복습을 하자면

사전적 의미로는 tolearance - 용인, 참다 와 같은 의미를 갖고있는데

앞 포스팅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SAP에서는 한도 라고 생각하면 될것 같다.

 

 

Tolerance group for employees (한도를 직원 레벨에서 컨트롤)

- Upper limits for transactions (전표의 최대한도 금액 설정)

- Permmited payment differences (차액 지급에 대한 허용범위 설정)

 

Tolearance group for G/L accounts (한도를 G/L계정 레벨에서 컨트롤)

- Permitted payment differences (차액 지급에 대한 허용범위 설정)

 

Tolearance group for customers/vendors (고객/업체 레벨에서 컨트롤)

- Default values for clearing transactions (반제처리시 기본설정 값 지정)

- Permitted payment differences (차액 지급에 대한 허용범위 설정)

- Specifications for posting residual items from payment differences (차액지급에 대하여 residual items(잔여항목)라는 것으로 전표생성을 하는 규칙설.)

- Tolearances for payment advice notes (지급한도에 대한 조언을 입력 할 수 있다.)

 

허용되는 Payment differences에 대한 설명

사용자 허용범위 설정

- Tolearance Group for Employees : Revenue Expense(수익비용) - 금액 : 200유로 - Percent 2.5% - Cash Discount adjustment. : 3.00 ( 최대한도가 200유로이고 채권금액의 2.5프로를 벗어날 수 없다.)

- Tolearance Group for Customers/Vendors : Revenue Expense(수익비용) - 금액 : 100유로 - Percent 2.0% - Cash Discount adjustment. : 2.00 ( 최대한도가 100유로이고 채권금액의 2.0프로를 벗어날 수 없다.)

 

AR(채권)이 10,000유로 일때 실제 입금된 금액은 2프로 만큼 적은 9800이 입금이 되었을 때 Payment difference는 200이 된다. Payment differences란 받거나 줘야 할 금액과 실제 입금, 지급된 금액이 상이한 차이 액수 라고 정의 할 수 있겠다. 

 

AR(채권)이 10,000유료 일때 실제 입금된 금액이 9898유로이고 할인 금액이 100유로일때 Customers/Vendors 한도금액에서는 차이금액이 2를 넘지 않음으로 전표생성이 가능하고 할인금액 100에서 102로 자동으로 라인아이템 보정을 해준다.

 

cash discount adjustment :  할인금액 한도 -> 할인한도 초과시 차이금액계정에 생성

payment difference adjustment : 지급잔액 차이 한도 -> 잔액 한도 초과시 지급중단




 

 

 

 

Reason Codes (발생된 Payment Differences에 대한 사유)

- 분석용도로 사용

- Reason codes의 code와 text외에 corres란 값도 있다.

- corres : 거래처에 제공되는 서식유형

- Write off : x로 선택된것을 포스팅처리할때 사용을 하게되면 대변과 차변을 다르게 갈 수 있다?

- Disputed : x로 선택된것을 포스팅처리하면 해당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여신 영역과 관련된 리포팅을 할 떄 해당건을 리포트에서 제외하거나 하는 기능을 수행함

 

 

 

728x90